ℹ️ 마을 명령어는 마을 월드에서만 작동합니다.
ℹ️ /land 관련 명령어는 /마을 명령어로도 사용 가능합니다.
/chunkcalc <청크 갯수> 명령어로 청크 구매에 필요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💡 마을 생성
거의 모든 명령어는 해당 땅에서 [/land edit]을 하신 뒤에 하셔야 정상 작동됩니다.
[/lands claim], [/마을 확장] 명령어를 사용하면 플레이어의 닉네임과 동일한 이름의 마을이 서있는 청크에 생성됩니다.
[/lands create 이름], [/마을 생성 이름] 명령어를 사용하면 [이름]의 마을이 서있는 청크에 생성됩니다.
[/land unclaim], [/마을 청크취소] 명령어를 사용하면 서있는 청크를 마을 점유 해제합니다.
[/land merge] 명령어를 사용하면 마을을 병합할 수 있습니다.
기존 마을을 편집하고 [/land merge 마을명]을 하시면 마을이 병합됩니다. 마을명에 기존 마을과 합치고 싶은 마을명을 기재해주시면 됩니다.
[/land delete], [/마을 삭제] 명령어를 사용하면 마지막에 수정한 마을을 삭제합니다.
[/land view], [/마을 경계선] 명령어를 사용하면 마을의 청크를 볼 수 있습니다.
[/land spawn], [/마을 스폰]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랜드의 스폰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[/land setspawn], [/마을 스폰설정]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랜드의 스폰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ℹ️ 청크(chunk)란?
청크는 마인크래프트 세계에서 256블록 높이의 16 x 16 범위입니다.
청크는 세계 생성기(world generator)가 지도를 관리할 수 있는 크기로 나누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F3 + G 키를 이용하면 청크 경계선을 볼 수 있습니다.
💡 마을원 초대 및 추방
[/land trust 닉네임] 명령어를 이용하면 해당 유저에게 마을 초대장을 보낼 수 있습니다. 이 때, 초대 보내는 마을장과 초대 받는 마을원이 같은 월드에 있어야 초대가 가능합니다.
[/land untrust 닉네임]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유저를 마을에서 추방할 수 있습니다.
[/land ban 닉네임]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유저를 마을에 들어오지 못하게 추방할 수 있습니다.
[/land unban 닉네임]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유저의 밴을 풀 수 있습니다.
통계에서는 마을의 크기, 멤버 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청크는 처음 1000원으로 시작해 청크 개수마다 1.1배씩 증가합니다.
ℹ️ [/chunkcalc <청크갯수>] 명령어를 사용하면 청크구매에 필요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ℹ️ 마을 금고와 관련된 명령어 목록
[/land balance] 마을 금고 잔액 확인
[/land deposit <금액>] 원하는 금액만큼 금고에 입금
[/land withdraw <금액>] 원하는 금액만큼 금고에서 출금
[/lands]를 입력하면 마을 GUI를 열 수 있고, 원하는 땅을 클릭하면 대부분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[/lands] 메뉴에서 [역할]을 클릭하면 각 역할별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.
작업 깃발에서는 해당 역할을 가진 마을원의 행동 권한을, 관리 깃발에서는 해당 역할을 가진 마을원의 명령어 사용 권한을 제어 가능합니다.
ℹ️ 작업 깃발에서 경작지 파괴 방지 설정이 가능합니다.
/land selection 으로 지역으로 설정할 범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. 좌클릭 및 우클릭으로 범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.
범위 설정이 끝나면 /land assign <지역명>으로 지역 설정이 가능합니다.
/land → 지역→ <지역명> 에서 기존 랜드 설정과 같이 자연 플래그, 역할 플래그 등의 설정이 가능합니다.
⚠️ 지역을 생성하면 랜드의 기존 멤버는 해당 지역 한정 untrust로 전환됩니다. 해결 방법(수동) : 지역 → 플레이어 관리 → 멤버 → 플레이어 신뢰(닉네임 입력)
[/lands relations allies 마을이름]로 <마을이름>을 동맹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[/lands relations enemies 마을이름]로 <마을이름>을 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